darait

[Tomcat]Server.xml 정리 본문

IT/tomcat

[Tomcat]Server.xml 정리

adm7305 2017. 4. 12. 15:27



1. <Server>

- 최상위 컴포넌트로서, 톰캣의 인스턴스와 동일하다. 

- 기본 8005 port가 설정되어 있다. 여러개의 톰캣 인스턴스를 사용할 경우, port번홀르 다르게 하여야 한다. 

-shutdown 설정이 Tomcat을 끈다. 


2. <Listener>

- <Server>의 하위 컴포넌트

- 특정 이벤트들을 리스닝하고 이벤트 발생시 응답


3. <GlobalnamingResource>

- <Server>으 하위 컴포넌트 

- <Resource>을 통해 전역 리소스를 설정한다. (JNDI 설정을 한다.)


* JNDI란?

Directory Service에서 제공하는 데이터 및 객체를 발견(discover)하고 참고(lookup)하기 위한 자바 API


4. <Service>

- <server>의 하위 컴포넌트

- 1개 이상의 <Connector>와 <Engine>을 포함한다. 

- service의 이름은 지정하는 역할을 한다.


 

5. <Connector>


톰캣은 기본적으로 HTTP(8080), HTTPS(8443), AJP(8009)



6. <Engine>

- 커넥터로 수신한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처리하고 응답한다. 

- 기본 이름은 Catalina이다.


7. <Host>

- War파일을 압축 해제하여 실제 배포하여 web에서 볼 수 있도록 한것.

- VirtualHost를 의미, name속성으로 설정된 호스트명으로 웹 애플리케이션을 제공.

- 하나의 Tomcat instance에 여러개의 <Host>도 존재하지만 보통은 1개의 Tomcat에 1개의 Host가 존재한다. 



8. <Context>

- 웹 애플리케이션을 의미한다. 

- <Context> 설정이 <Host>안에 없을 경우 기본적으로 webapp 하위의 Root Directory를 기본경로로 설정한다. 

-  path 속성은 port 뒤에 Tomcat이 붙을 수 있는 경로 이름이다. 

- docBase는 war파일이 실제 풀리고 생기는 폴더를 말한다.


9. <Value>

- 요청을 처리하는 파이프라인 사이에 추가 되어 특별한 처리를 하는 컴포넌트

- Servlet Filter와 비슷한 기능이나, Servlet은 EE 스펙, Valve는 Tomcat 스펙이다. 





'IT > tomca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[Tomcat]총정리  (0) 2017.04.12
Comments